카테고리 없음

HUG HF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은행 자격 한도 연봉 금리 대상 총정리

난쟁이 2023. 6. 9. 16:24

 

버팀목 전세대출 자격조건

1. 임대차 계약 체결 및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2. 대출 접수일 기준 성인인 세대주(대출 실행일로부터 한 달 이내에 세대주 예정자 포함입니다.)

3. 세대주 포함 세대원 전원 무주택자

4. 중복대출 불가(주택도시기금, 은행 전세대출 및 주택담보대출 미이용 중인 자만 가능합니다.)

-성년인 세대원 전원이 위에 안내한 대출 이용 중일 경우 대출 불가합니다.

5. (*소득)대출 신청인 및 배우자 합산 연봉 5천만원 이하인 자

-단, 신혼부부, 다자녀가구(2자녀 이상) 등은 연봉 6천만원 이하면 가능합니다.

6. (*자산)대출 신청인 및 배우자 합산 순자산 가액이 2023년 기준 3.61억 이하인 자

-자산심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nhuf.molit.go.kr/FP/FP08/FP0813/FP081301.jsp?id=20&mode=S&currentPage=1&articleId=1160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7. (*신용도)대출 신청인이 아래에 기재된 신용정보 및 해제이력이 있을 경우 대출 불가합니다.

-연체, 대위변제 및 대지급, 부도, 관련인정보

-금융질서문란, 공공기록, 특수기록정보

-신용회복지원등록정보

8. 대출 신청일 기준 공공임대주택 입주하고 있을 경우 대출 불가합니다.

 

버팀목 전세대출 신청시기

 

버팀목 전세대출 대상 주택

 

버팀목 전세대출 한도

 

연간소득 산정방법

-재직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대출한도가 2천만원 미만으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

*금리우대 (중복적용 불가합니다.)

-연소득 4천만원 이하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일 경우 연 1.0% 우대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인 한부모 가구일 경우 연 1.0% 우대

-장애인 / 다문화가구 / 노인부양가구 / 고령자가구일 경우 연 0.2% 우대

 

*추가우대금리 (위 3가지 중 한 가지와  중복적용 가능)

-주거안정 월세대출 성실남부자일 경우 연 0.2% 우대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시 연 0.1% 우대 (~2023년12월31일 신규 접수분까지) 

-1자녀가구 연 0.3% / 2자녀가구 연 0.5% / 다자녀 가구 연 0.7% 우대

 

※ 우대금리 적용 후 최종금리가 연 1.0% 미만일 경우 연 1.0%가 적용됩니다.

 

버팀목 전세대출 이용기간

 

-이용기간의 경우 최초 2년 계약 후 최대 4회까지 연장하여 최장 10년까지 가능합니다.

-최장 10년까지 대출 이용 후 미성년 자녀 1명당 2년 연장 가능합니다. (최장 20년)

 

상환방법

-만기일시상환 또는 혼합상환

 

중도상환 수수료

-대출 받을 때 아주 중요한 중도상환 수수료는 없습니다.

(전세대출을 받은 집에서 거주하다가 다른 곳으로 이사가고 싶을 경우 중도상환 수수료 없이 상환 가능합니다 ^^)

 

보증 종류별 안내

 

버팀목 전세대출 취급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농협, 신한은행 그리고 지역은행인 대구은행, 부산은행에서도 취급합니다. 

 

꿀팁으로는 제가 버팀목 전세대출을 알아보면서 은행에 문의했을때 버팀목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직원은 없었습니다.

저는 경기도 의정부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의정부 지역에 있는 신한은행 민락지점, 우리은행 민락지점에 전화했으나

두 곳 모두 버팀목 전세대출에 대한 지식도 없을 뿐더러 응대가 매우 불친절했기 때문에 기분이 매우 나빴었습니다.

신한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이용하고 있었는데 이번 일로 인해 카카오뱅크로 주거래은행을 바꿀까 하고 있습니다.

버팀목 알아보실때 계약하는 부동산을 통해 버팀목에 대해 잘 아는 상담사를 추천 받아서 진행하시길 추천 드립니다.